동사 make 는 ‘만들다’라는 의미로 아주 자주 쓰이는 단어죠.

근데 make 가 구동사로 쓰이면, 그냥 ‘만들다’ 라고 하는 기본 의미에서 어떻게 확장되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해요.  그 의미가 여러 방향으로 확~ 넓어지거든요.  

기본적으로 "make"는요…

1. 뭔가를 새로 만들다

2. 형성하다.

3. 어떤 결과나 상태를 바꾸는 느낌이 있어요.

예를 들어서요,

make a cake 하면 케이크를 손으로 직접 만드는 거고, 

make a noise는 소리를 만들어 내는 거예요.

make money는 돈을 ‘버는’ 거니까, 결국 돈을 만들어낸다는 느낌이죠.

👉 요런 식으로, ‘없던 걸 있게 만드는’ 느낌이 강하다고 보시면 돼요!


그런데! "make"가 구동사로 쓰일 땐?

"make"가 다른 전치사나 부사 같은 걸 만나면 그때부터는 ‘단순히 뭘 만든다’는 뜻이 좀 더 추상적이거나, 방향성 있게 바뀝니다.

쉽게 말하면, "make"는 어떤 일의 시작점! 의 뉘앙스를 갖고,

그다음에 붙는 단어들이 *‘뭘 만드냐’, ‘어떻게 만드냐’, ‘무엇을 향해 만드냐’*를 알려주는 거예요.


-----------------------------------------------------------------------------------------------------------


make up의 의미


① (이야기, 변명 등을) 지어내다, 꾸며내다 

make (만들다) + up (완전히/존재하지 않는 것을)

사실이 아닌 이야기나 변명을 완전히 새롭게(up) 만들어내다(make)는 의미입니다. 

He made up an excuse for being late. 

그는 지각한 것에 대해 변명을 지어냈다.


② 화해하다 (reconcile)

make (관계를 만들다) + up (완전히/좋은 상태로)

깨졌거나 서먹해진 관계를 다시 완전하게 좋은 상태로(up) 만든다(make)는 의미입니다. 

They finally made up after the argument. 

그들은 말다툼 후에 마침내 화해했다.



③ 보상하다, 벌충하다, 만회하다 (compensate for, make amends for): (주로 make up for)

make (만들다/채우다) + up (부족한 부분을/완전히)

손실이나 부족했던 부분을 채워서(up) 온전한 상태로 만들다(make)는 의미입니다. 

I'll make up for the lost time. 

내가 손해 본 시간을 만회할게.


④ 화장하다 (apply cosmetics)

make (만들다/꾸미다) + up (외모를/완성된 상태로)

화장품 등을 이용해 얼굴(외모)을 꾸며서 보기 좋게 완성된 상태(up)로 만들다(make)는 의미입니다. 

She takes a long time to make up her face. 

 그녀는 화장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


⑤ (필요한 것을) 준비하다, 갖추다, 채우다 (prepare, assemble):

make (만들다/준비하다) + up (필요한 것을 모아/완전히)

흩어져 있거나 부족한 것들을 모아 필요한 상태로(up) 만들거나 준비하다(make)는 의미입니다. (예: make up a bed - 침대를 정돈하다, make up a prescription - 처방전대로 약을 조제하다)


⑥ 구성하다, 형성하다 (constitute, form):

make (이루다/형성하다) + up (전체를/완전히)

여러 부분들이 모여 전체(up)를 이루다/형성하다(make)는 의미입니다. 

Women make up 60% of the workforce. 

(여성이 노동인구의 60%를 구성한다.)


정리하자면 

make up 은 make의 '새로운 모습이나 결과를 만들다 '라는 뉘앙스와 up의 '완전함', '향상' 등의 보조적인 뉘앙스가 결합하여, 맥락에 따라 '이야기를 지어내다', '화해하다', '보상하다', '화장하다', '결심하다', '필요한 것을 갖추다, 채우다' 등 다양한 의미를 만들어 냅니다. 어떤 의미로 사용되었는지는 문맥을 통해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