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t together라는 표현은 두 단어, get이랑 together가 만나서 생긴 건데, 각각이 가진 느낌부터 먼저 살펴보면 이해가 쏙쏙 될 거예요.


                              



먼저 get은 어떤 느낌일까요?

보통 "얻다"라고 배우지만, 사실 더 중요한 뉘앙스는 **'어떤 상태나 장소에 도달하는 과정'**이에요.
예를 들어,

  • get ready → 준비된 상태가 되는 거

  • get sick → 아프게 되는 거

  • get to the station → 역에 도착하는 거

이렇게 뭔가 변화하거나, 어떤 지점에 도착하는 느낌을 줘요. 즉, "가만히 있다가 무언가를 향해 움직이는 느낌"이 핵심이에요.


그다음 together는?

이건 우리가 익숙하죠. "같이", "함께", "모여서" 이런 의미예요. 혼자가 아니라 여럿이 같이 있는 상태를 말해요.


자, 그럼 get together는 무슨 뜻일까요?

바로 "같이 있는 상태가 되도록 움직이자!", 그러니까
➡️ "모이다", "만나다" 라는 뜻이 되는 거예요.

예를 들면,

  • Let’s get together sometime!
    → 나중에 한번 보자!

  • The family gets together every holiday.
    → 가족들이 명절마다 모여!


여기서 중요한 건, 그냥 우연히 같이 있는 게 아니라, 일부러 약속을 잡고, 시간도 내고, 움직여서 만나게 되는 과정이 담겨 있다는 거예요. 그게 get의 힘이죠.


📌 요약하자면!


get together는 "같이 있기 위해 (일부러) 만나거나 모이다"는 뜻이에요. 그냥 together만 썼으면 ‘그냥 같이 있다’는 느낌이고, 거기에 get이 붙으면서 '모이기 위한 행동'이 강조되는 거죠.




1. Get together with your sister closer. 

2. We're going to get together at his place around 7.

3. Let's get together soon before we get busy. 

4. Let's get together for lunch sometime, maybe next week if you’re free.

5. He wants to get together for a coffee after work. 

6. How about we get together for lunch instead of dinner?

7. I'm gonna have a little get together this weekend at my house.